무릇 급암(汲黯)과 정당시(鄭當時) 같은 어진 사람도, 권세가 있으면 빈객이 열 배가 되지만, 권세가 없으면 그렇지 못하니, 하물며 일반 사람은? 하규의 책공이 말이 있으니, 처음 적공이 정위가 되어, 손님들이 문에 가득하였는데, 그가 물러났을 때에는, 문밖에 참새 그물을 설치할 수 있었다. 적공이 다시 정위가 되자, 손님이 왕래하려 하였는데, 적공이 마침내 그 문에 크게 써서 이르길,
“한 번 죽고 한 번 사는 것으로 마침내 사귀는 정을 알게 되고, 한 번 가난하고 한 번 부유해짐으로 마침내 사귀는 태도를 알게 되고, 한 번 귀해지고 한 번 천해짐으로 사귀는 정이 마침내 드러난다.”
하였다.
- 《사기史記》 〈급정열전汲鄭列傳〉
축자직해 정보(Verbal Translation & etc.)
*
1
門
문
문 문 문(門)
2
前
전
앞 전 앞, 이전
3
雀
작
참새 작 참새
4
羅
라
그물 라 그물
1
夫
부
1
6
以
이
*
2
汲
급
두레박 급 성씨(姓氏)
*
3
鄭
정
나라 이름 정 성씨(姓氏)
4
之
지
5
賢
현
으로도
。
2
有
유
1
勢
세
2
3
則
즉
4
賓
빈
손 빈 손님, 빈객
5
客
객
6
十
십
7
倍
배
곱 배 두 배
나
。
2
無
무
1
勢
세
2
3
則
즉
4
否
부
아닐 부 아니다
하니
。
3
1
況
황
하물며 황 하물며, 더구나
2
衆
중
3
人
인
3
4
乎
호
아
。
*
1
下
하
2
邽
규
고을 이름 규 지명(地名)
*
3
翟
책
성씨 책 성씨(姓氏)
4
公
공
6
有
유
5
言
언
이라
。
1
始
시
*
2
翟
책
성씨 책 성씨(姓氏)
3
公
공
6
爲
위
*
4
廷
정
조정 정 관직명(官職名)
5
尉
위
지킬 위 관직명(官職名)
하니
。
1
賓
빈
2
客
객
*
4
闐
전
성할 전 성하다
3
門
문
한대
。
4
2
及
급
1
廢
폐
에
。
1
門
문
2
外
외
5
6
可
가
5
設
설
3
雀
작
참새 작 참새
4
羅
라
그물 라 그물
라
。
*
1
翟
책
성씨 책 성씨(姓氏)
2
公
공
3
復
부
다시 부 다시, 또, 더구나
6
爲
위
*
4
廷
정
조정 정 관직명(官職名)
5
尉
위
지킬 위 관직명(官職名)
하니
。
1
賓
빈
2
客
객
4
欲
욕
3
往
왕
한대
。
*
1
翟
책
성씨 책 성씨(姓氏)
2
公
공
3
乃
내
6
大
대
7
署
서
쓸 서 글씨를 쓰다
4
其
기
5
門
문
8
曰
왈
。
1
一
일
2
死
사
3
一
일
4
生
생
으로
。
1
乃
내
4
知
지
2
交
교
3
情
정
이요
。
1
一
일
2
貧
빈
3
一
일
4
富
부
로
。
1
乃
내
4
知
지
2
交
교
3
態
태
모습 태 태도
요
。
1
一
일
2
貴
귀
3
一
일
4
賤
천
천할 천 천하다, 미천하다
으로
。
1
交
교
2
情
정
3
乃
내
4
見
현
(≒現)나타날 현 나타나다, 드러나다
이라하다
1以AB:A로써(로서) B하다 ; A를 B하다2A則B:A이면 B이다 ; A하면 B하다3況A乎:하물며 A(함)에서야? ; 하물며 A는 어떠하겠는가?4及A:A 때에 이르다 ; A했을 때5可A:A할 수 있다*門前雀羅(문전작라)*汲(급)*鄭(정)*下邽(하규)*翟公(책공)*廷尉(정위)*闐門(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