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사이버書院 Mobile

법인홈

신간안내 -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신간안내 -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이 책을 펴내며

오늘날 우리는 宗敎的인 民族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인구의 대부분이 불교와 그리스도교나 유교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교를 믿고 있다. 이처럼 과거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文化와 宗敎가 共存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만큼 우리사회가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고 있는 열린 사회임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각기 다른 문화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宗敎間에 갈등이 일어나 우리의 價値觀과 삶을 混亂스럽게 하는 일도 종종 일어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問題를 解決하고 갈등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종교인들이 자신이 신봉하는 특정종교의 교리에만 집착하는 偏狹한 태도에서 벗어나 巨視的인 眼目으로 다른 종교와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相生的 努力이 필요하다.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는 세계 여러 종교의 경전을 比較 理解하는 것이야말로 그 같은 목적에 다가서는 捷徑이라고 생각하여 기획한 지 6여년 만에 비로소 햇빛을 보게 되었다.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는 그리스도교, 도교, 동학, 불교, 유교, 이슬람, 힌두교 등 7대 종교의 基本經典을 망라하여 수록함으로써 종교 일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하였으며, 국내 최초로 比較宗敎學的 관점을 적용하여 주제별로 項目을 정리하였다. 또 종교의 이해를 위한 總說을 비롯하여 각 종교별로 槪要를 붙이고 경전의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收錄, 여러 종교의 核心敎理와 德目의 종합 색인은 물론 목차 색인과 출전 색인을 덧붙여 책의 활용도를 높이고 각 경전의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하였다.
그간 이 책의 간행을 위하여 勞苦를 아끼지 않으신 편집위원, 집필위원, 자문위원 여러분을 비롯하여 각 종교의 교단 및 관계 기관의 協助와 指導에 감사드린다. 아울러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기탄없는 질정을 기다리며 이 책이 이 나라의 平和와 繁榮 그리고 宗敎界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하기를 간절히 祈願한다.

◇ 비교종교학적 관점이 적용된 국내 최초의 종교 경전 지침서
종교의 이해를 위한 총설을 비롯하여 각 종교별로 개요을 붙이고 경전의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수록, 여러 종교의 핵심 교리와 덕목을 비교함으로써 각 종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세계 7대 종교 기본경전의 주제별 망라

<대상 경전>
그리스도교 : 공동번역 성경
도 교 :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 장자남화경(莊子南華經) 포박자(抱朴子) 음부경(陰符經)
동 학 : 동경대전(東經大全) 용담유사(龍潭遺詞) 해월신사법설(海月神師法說) 의암성사법설(義菴聖師法說) 등
불 교 : 금강경(金剛經)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반야심경(般若心經) 법구경(法句經) 법화경(法華經) 유마경(維摩經) 화엄경(華嚴經) 등
유 교 :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소학(小學)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 효경(孝經)
이 슬 람 : 무함마드전기(이븐 이샤크) 꾸란 하디스 등
힌 두 교 : 바가바드기타 베다 우파니샤드 푸라나 등

◇ 편집방침

1. 세계적 종교와 우리 나라와 관련있는 7대 종교(七大宗敎)
2. 각 종교 기본경전(基本經典)의 핵심적 교리(敎理)와 덕목(德目) 망라
3. 총설(總說)과 각 종교 개요(槪要), 경전 내용(內容)과 색인(索引)으로 구성
4. 대항목(大項目)은 공통, 중소항목(中小項目)은 종교의 특수성에 따름
5. 흥미로운 예화(例話)로 종교적 진리에 쉽게 접근
6. 역사적(歷史的) 배경(背景)과 객관적(客觀的) 시각(視覺)으로 기술
7. 모든 계층의 독자를 위한 평이(平易)한 문장(文章)

◇ 비교종교학적 관점으로 본 최초의 주제별 항목 분류

<주제별 대항목>
Ⅰ 긍극적 실재 Ⅵ 개인윤리와 이상적 삶
Ⅱ 세계와 창조 Ⅶ 사회윤리와 이상적 사회
Ⅲ 인간과 종교적 체험 Ⅷ 창시자
Ⅳ 종교수행 Ⅸ 종교공동체
Ⅴ 종교의례

◇ 일반색인 목차색인 출전색인 등으로 종교별 상호참조
-종교별 특성을 고려하여 표제어를 선정하고 주제별 항목으로 분류
-비교종교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유사한 용어는 한 표제어로 통일하여 정리
-목차 색인은 각 종교의 목차를 통합하여 배열
-출전 색인은 종교별 경전을 편장절로 구분하여 표시

◇ 중견 및 원로 종교학자들의 7년간 노력의 결실

편집위원회
공 동 위원장 : 금장태(琴章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길희성(吉熙星)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기획편집위원 : 김종서(金鍾瑞)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편집출판위원 : 신승운(辛承云)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편 집 위 원 : 집필위원

집필위원
그리스도교 : 이정배(李正培) 감신대 종교철학과 교수
도 교 : 이강수(李康洙) 연세대 철학과 교수
동 학 : 홍성엽(洪性燁) 천도교 종학대학원 연구원
불 교 : 김용표(金容彪)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유 교 : 이기동(李基東) 성균관대 유학과 교수
이 슬 람 : 김영경(金永慶) 서강대 종교학과 계약교수
힌 두 교 : 길희성(吉熙星) 서강대 종교학과 교수

자문위원

그리스도교-천주교 : 심상태(沈相泰) 수원가톨릭대 신학과 교수
개 신 교 : 유동식(柳東植) 연세대 명예교수
도 교 : 김충렬(金忠烈) 고려대 명예교수
동 학 : 표영삼(表暎三) 천도교 상주선도사
불 교 : 목정배(睦楨培)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유 교 : 안병주(安炳周) 성균관대 명예교수
이 슬 람 : 김정위(金定慰) 한국외국어대 이란어과 교수

◇ 출판사항
판형 : 4×6배판, 양장본, 1,100면, 정가 : 60,000원
출판처 :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 ☎ 762-8401(代)
홈페이지 : juntong.or.kr
사이버書堂 : cybersodang.co.kr
E-mail : juntong@juntong.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