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사이버書院 Mobile

법인홈

신간안내 - <<형성자 중심 한자교육 시험백과>>

<<형성자 중심 한자교육 시험백과>> 신간안내

어떻게 하면 한자·한문을 쉽게 배울 수 있을까?
한문 공부에 마음을 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씩은 생각해 보는 문제이다. 실제로 요즈음 출간되는 책들의 선전 문구를 보면 마치 그 책을 펴놓고 있거나 책장만 넘겨도 저절로 암기되고 며칠 몇 달 안에 완전 습득(習得)할 것 같은 착각이 일 정도로 현란(眩亂)하다. 그러면 한자·한문 공부에 과연 왕도(王道)는 있는 것일까? 왕도는 몰라도 조리를 따져가며 체계적으로 공부하는 첩경(捷徑)은 있을 법하다.
이 책의 저자 김종혁(金鐘赫) 선생은 성균관대학 중문과 출신으로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에서 한문을 수학하였다. 저자는 우리나라 한자 학습지를 처음 개발하였고, 또한《부수(部首)를 알면 한자가 보인다 를 저술하였다. 그동안의 교육 경험과 연구로 한자를 체계적이면서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던 차에 자의(字義)부터 한자능력 시험문제까지 종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이 책을 내놓게 되었다.
우선 한자 공부에는 자형(字形)·자음(字音)·자의(字義) 세 요소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필수 요건이다. 그런데 요즈음 출간되는 책들은 대부분 오늘날 쓰여지는 자형만으로 그 자원(字源)을 설명하고, 자의적(恣意的)으로 자의와 자음을 풀이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한자는 오랜 기간에 걸쳐 자형이 변해 온 만큼 자의와 자음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고문자(古文字)인 갑골문(甲骨文)이나 금문(金文)의 자형을 살피지 않으면 안 된다. 간혹 이런 점들에 착안하여 기술된 책이 있기는 하지만 이들은 대부분 중국이나 일본에서 간행된 책을 그대로 번역 출간하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실제와는 거리가 있어 미덥지 않다.
저자는 한자를 배우고자 하는 이들이 우리 언어 생활에 사용되는 한자를 좀더 쉽게 체계적(體系的)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본서(基本書)로 기획 편찬하였으며, 어떻게 해야 한자를 쉽고 재미있게 빨리 익힐 수 있는지 진지하게 고민했다. 그래서 얻은 결론은 오늘날 활용되는 전체 한자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는 형성자(形聲字)를 제대로 알고 활용하는 것이 한자 공부의 지름길이라는 것이었다.
이에 본서에서는 문교부(文敎部)가 지정한 교육용(敎育用) 기초한자 1,800자와 대법원(大法院)이 발표한 인명용(人名用) 한자 2,854자 및 이후 추가된 인명용 한자를 대상으로 집필하였는데 음(音)의 역할 한자[聲符]를 머릿글자로 내세우고, 그 음과 관련이 있는 한자를 열거하여 해당 학습 한자의 음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 성부(聲符)의 역할을 하는 머릿글자에 병기(倂記)된 갑골문(甲骨文)·금문(今文)·소전(小篆) 자형은 고문자유편(古文字類編) 등 10여 종의 자료를 참고하여 가능한 모두 병기하였으며 자원(字源)은 문자학(文字學)을 전공하는 여러 학자들의 설(說)을 참고하여 가장 타당하다고 여겨지는 것을 채택하되 불분명한 경우, 여러 견해를 그대로 소개하였다.
한자를 배우는 목적 가운데 하나는 풍부한 어휘(語彙)를 구사하는 것이다. 때문에 개념어(槪念語)와 학술용어(學術用語)를 많이 첨부하였으며, 특히 대입(大入)을 앞둔 학생들의 시험에 필요한 어휘와 한자문화권의 비중이 계속 증대되는 21세기에 이를 중요시하는 대기업체(大企業體)의 입사 시험이나 공무원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어휘, 시험문제를 많이 수록하였다. 또한 요즈음 한자능력검정시험(漢字能力檢定試驗)을 대비하는 이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많은 부분을 이에 할애하고 있다.
이 책은 본회의 한자한문교육총서의 일환으로 국어교육이어야 할 한자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을 확신하며, 독자 여러분의 질정과 성원을 기원한다.
이 책의 특장(特長)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형성자(形聲字)를 중심으로 관련 한자를 학습한다.
2. 음의 역할을 하는 성부(聲符)가 같은 한자를 한데 모아 쉽게 기억하도록 한다.
3. 설문해자(說文解字) 를 통하여 자원(字源)을 설명함으로써 글자의 근본을 이해하도록 한다.
4. 갑골문(甲骨文)·금문(今文)·소전(小篆) 등을 예시하여 자형(字形)과 자원(字源)을 쉽게 익히도록 한다.
5. 교육용 한자와 인명용 한자 등을 대상으로 하고 용례(用例)를 달았다.
6. 한자능력검정시험과 입사 및 공무원시험 문제를 수록하여 시험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 편저자 : 金鍾赫(전통문화연구회 고전연수원 강사)
※ 판형 및 면수 : 4×6배판 600면
※ 정 가 : 25,000원
※ 간행처 : (사)전통문화연구회
전화 : 762-8401 전송 747-0083

社團法人 傳統文化硏究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