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사이버書院 Mobile

법인홈

신간안내 - 춘추좌씨전2

이 책은 정부의 지원으로 수행하는 東洋古典譯註事業의 일환으로 번역한 ≪春秋左氏傳≫ 제 2책으로 노(魯)나라 희공(僖公) 元年부터 문공(文公) 18년까지를 수록하였다.

본래 ≪春秋≫는 魯나라 隱公 원년(元年 B.C. 722년)에서 哀公 14년(B.C.481년)까지 2백 42년 동안의 노나라의 歷史書를 孔子가 다시 수정하여 편찬한 책으로, 춘추란 이름은ꡐ春夏秋冬ꡑ사계절 가운데서 ‘春’과 ‘秋’만 따서 1년간의 年代記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역사를 기록하면서 숨기거나 거리낌없이 嚴正한 입장에서 直筆하는 것을ꡐ春秋筆法’이라는 말이≪春秋≫에서 유래된 것이다.

≪춘추≫의 經文은 글이 매우 간략하고 표현이 추상적이어서 그 뜻을 해설한 傳이 없이는 도저히 본의를 해득할 수 없기 때문에 ≪春秋左氏傳≫․≪春秋公羊傳≫․≪春秋穀梁傳≫등 이른바 ‘春秋三傳’이 나오게 된 것이다. 이 三傳 가운데 ≪공양전≫과 ≪곡량전≫은 문답 형식으로 經文의 서법을 설명한데 반해 ≪좌씨전≫은 사건의 전말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아울러 서법까지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後漢 학자 桓譚의 말처럼 ≪춘추≫ 경문과 ≪좌씨전≫은 마치 옷의 안감과 겉감처럼 表裏를 이루어 경문만 있고 이 傳이 없으면 아무리 聖人이라도 십 년 동안 문을 닫고 연구해도 알 수 없을 것이라는 평가를 받아오고 있다.

이 ≪좌씨전≫에 대한 註釋書는 수 없이 많으나, 그 중에서도 晉나라 두예(杜預)의 注, 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의 소(疏)와 근대 중국 학자 양백준(楊伯峻)의 주석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 번역의 臺本은 조선 世宗 때 集賢殿 學士들이 王命을 받아 두예주(杜預注)를 위주로 삼고 임요수(林堯叟)와 주신(朱申)의 설을 附注하여 편찬해 출간한 內閣本을 底本으로 삼았다. 이 번역을 위하여 韓國文集叢刊(민족문화추진회 간행)과 ≪韓國經學資料集成≫(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간행)을 참고하여 우리 나라 先學들의 註說이나 辨證을 譯註로 소개하였고, ≪春秋左傳正義≫(十三經注疏本)를 참고해 誤脫字를 訂補하였으며, 서울대학교 奎章閣 소장본인 ≪春秋經傳集解≫의 懸吐를 참고하여 經과 傳에 懸吐함으로써 原典의 이해를 도왔다.

한학자 鄭太鉉 교수(민족문화추진회)는 오래 전부터 번역에 뜻을 두고 강독 등을 하여 오던 차 6년 전 본회의 위촉으로 번역을 마쳐 出刊하게 된 것이다. 이번의 譯註書가 우리의 역사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준 춘추학 연구에 일조를 할 것으로 믿는다.

◆ 목차
간행사
범례
참고도서
魯僖公 上
魯僖公 中
魯僖公 下
魯文公 上
魯文公 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