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經】秋九月乙丑에 晉趙盾弑其君夷皐하다


【傳】晉靈公不君하야 厚歛以彫牆하고 從臺上彈人하야 而觀其辟丸也하다 宰夫胹熊蹯不熟이어늘 殺之하야 寘諸畚하야 使婦人載以過朝하다 趙盾士季見其手하고 問其故而患之하야 將諫에 士季曰 諫而不入이면 則莫之繼也라 會請先하리니 不入이어든 則子繼之하라 三進하야 及溜하니 而後視之曰 吾知所過矣니 將改之하리라 稽首而對曰 人誰無過리오 過而能改면 善莫大焉이니이다 詩曰 靡不有初나 鮮克有終이라하니 夫如是면 則能補過者鮮矣리이다 君能有終이면 則社稷之固也니 豈唯群臣賴之릿가 又曰 袞職有闕이면 惟仲山甫補之라하니 能補過也니이다 君能補過면 袞不廢矣리이다 猶不改어늘 宣子驟諫한대 公患之하야 使鉏麑賊之하다 晨往하니 寢門闢矣오 盛服將朝나 尙早하야 坐而假寐어늘 麑退하야 歎而言曰 不忘恭敬하니 民之主也라 賊民之主는 不忠이오 棄君之命은 不信이라 有一於此리니 不如死也라하고 觸槐而死하다


【傳】秋九月에 晉侯飮趙盾酒할새 伏甲하야 將攻之하다 其右提彌明知之하고 趨登曰 臣侍君宴에 過三爵은 非禮也라하고 遂扶以下하니 公嗾夫獒焉이어늘 明搏而殺之하다 盾曰 棄人用犬하니 雖猛何爲리오하고 鬪且出하다 提彌明死之하다


初에 宣子田於首山할새 舍于翳桑이러니 見靈輒餞[餓]하고 問其病한대 曰 不食三日矣라 食之한대 舍其半이러늘 問之한대 曰 宦三年矣라 未知母之存否러니 今近焉하니 請以遺之하노라 使盡之하고 而爲之簞食與肉하야 置諸橐以與之하다 旣而與爲公介하다 倒戟以禦公徒而免之어늘 問何故오 對曰 翳桑之餓人也로이다 問其名居하니 不告而退하다 遂自亡也하다


乙丑에 趙穿攻靈公於桃園하니 宣子未出山而復하다 大史書曰 趙盾弑其君이라하야 以示於朝하니 宣子曰 不然하다 對曰 子爲正卿하야 亡不越竟하고 反不討賊하니 非子而誰오 宣子曰 嗚呼라 詩曰 我之懷矣여 自詒伊慼이라하니 其我之謂矣로다 孔子曰 董狐는 古之良史也라 書法不隱하고 趙宣子는 古之良大夫也라 爲法受惡이로다 惜也라 越竟乃免이라 宣子使趙穿逆公子黑臀于周而立之하고 壬申에 朝于武宮하다


【經】冬十月乙亥에 天王崩하다


【傳】初에 麗姬之亂에 詛無畜群公子ᄅ새 自是晉無公族하다 及成公卽位에 乃宦卿之適子而爲之田하야 以爲公族하고 又宦其餘子하야 亦爲餘子하고 其庶子爲公行하니 晉於是有公族餘子公行하다 趙盾請以括爲公族曰 君姬氏之愛子也라 微君姬氏면 則臣狄人也라하니 公許之하다 冬에 趙盾爲旄車之族하고 使屛季以其故族爲公族大夫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