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隨季對曰 昔平王命我先君文侯 曰與鄭夾輔周室하야 毋廢王命하라하니 今鄭不率일새 寡君使群臣問諸鄭이니 豈敢辱候人이리오 敢拜君命之辱하노라 彘子以爲諂이라하야 使趙括從而更之曰 行人失辭라 寡君使群臣遷大國之迹於鄭曰 無辟敵하라하니 群臣無所逃命이라


楚子又使求成于晉하니 晉人許之하야 盟有日矣라 楚許伯御樂伯하고 攝叔爲右하야 以致晉師하다 許伯曰 吾聞致師者는 御靡旌摩壘而還이라하고 樂伯曰 吾聞致師者는 左射以菆하고 代御執轡면 御下하야 兩馬掉鞅而還이라하고 攝叔曰 吾聞致師者는 右入壘하야 折馘執俘而還이라하고 皆行其所聞而復하다 晉人逐之할새 左右角之하니 樂伯左射馬하고 而右射人하니 角不能進하다 矢一而已러니 麋興於前이어늘 射麋麗龜하다 晉鮑癸當其後어늘 使攝叔奉麋獻焉曰 以歲之非時로 獻禽之未至리니 敢膳諸從者하노라 鮑癸止之曰 其左善射하고 其右有辭하니 君子也라 旣免하다


晉魏錡求公族未得而怒하야 欲敗晉師하야 請致師어늘 弗許하고 請使어늘 許之하니 遂往하야 請戰而還에 楚潘黨逐之하다 及熒澤하야 見六麋하고 射一麋以顧獻曰 子有軍事하니 獸人無乃不給於鮮가 敢獻於從者하노라 叔黨命去之하다 趙旃求卿未得하고 且怒於失楚之致師者하야 請挑戰이어늘 弗許하고 請召盟이어늘 許之하니 與魏錡皆命而往하다 郤獻子曰 二憾往矣니 弗備면 必敗하리라 彘子曰 鄭人勸戰에 弗敢從也하고 楚人求成에 弗能好也하니 師無成命이라 多備何爲리오 士季曰 備之善이라 若二子怒楚하야 楚人乘我면 喪師無日矣리니 不如備之라 楚之無惡이면 除備而盟이라도 何損於好리오 若以惡來면 有備면 不敗리라 且雖諸侯相見에도 軍衛不徹은 警也라 彘子不可하다 士季使鞏朔韓穿帥七覆于敖前이라 故上軍不敗하다 趙嬰齊使其徒先具舟于河라 故敗而先濟하다


潘黨旣逐魏錡에 趙旃夜至於楚軍하야 席於軍門之外하고 使其徒入之하다 楚子爲乘廣三十乘하고 分爲左右하야 右廣雞鳴而駕하야 日中而說이면 左則受之하야 日入而說이라 許偃御右廣하고 養由基爲右하고 彭名御左廣하고 屈蕩爲右하다 乙卯에 王乘左廣하고 以逐趙旃하니 趙旃棄車而走林이어늘 屈蕩搏之하야 得其甲裳하다 晉人懼二子之怒楚師也하야 使軘車逆之하니 潘黨望其塵하고 使騁而告曰 晉師至矣라 楚人亦懼王之入晉軍也하야 遂出陳하다 孫叔曰 進之하라 寧我薄人이언정 無人薄我하라 詩云 元戎十乘으로 以先啓行이라하니 先人也라 軍志曰 先人有奪人之心이라하니 薄之也라하고 遂疾進師하니 車馳卒奔하야 乘晉軍하니 桓子不知所爲하야 鼓於軍中曰 先濟者有賞하리라하니 中軍下軍爭舟하야 舟中之指可掬也라


晉師右移로되 上軍未動이라 工尹齊將右拒卒하여 以逐下軍하니 楚子使唐狡與蔡鳩居告唐惠侯 曰不穀不德而貪이라가 以遇大敵하니 不穀之罪也라 然楚不克이면 君之羞也니 敢藉君靈하야 以濟楚師하노라 使潘黨率游闕四十乘하고 從唐侯以爲左拒하여 以從上軍하다 駒伯曰 待諸乎아 隨季曰 楚師方壯하니 若萃於我면 吾師必盡하리니 不如收而去之라 分謗生民이 不亦可乎아 殿其卒而退하야 不敗하다 王見右廣하고 將從之乘한대 屈蕩尸之曰 君以此始하니 亦必以終이니이다 自是楚之乘廣先左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