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21. 子曰 知者는 樂水하고 仁者는 樂山이니 知者는 動하고 仁者는 靜하며 知者는 樂하고 仁者는 壽니라

樂는 喜好也라 知者는 達於事理而周流無滯하여 有似於水라 故로 樂水하고 仁者는 安於義理而厚重不遷하여 有似於山이라 故로 樂山이라 動靜은 以體言이요 樂壽는 以效言也라 動而不括故로 樂이요 靜而有常故로 壽라

○ 程子曰 非體仁知之深者면 不能如此形容之니라

22. 子曰 齊一變이면 至於魯하고 魯一變이면 至於道니라

孔子之時에 齊俗은 急功利하고 喜夸詐하니 乃霸政之餘習이요 魯則重禮敎하고 崇信義하여 猶有先王之遺風焉이라 但人亡政息하여 不能無廢墜耳라 道는 則先王之道也라 言二國之政이 俗有美惡이라 故로 其變而之道에 有難易라

○ 程子曰 夫子之時에 齊强魯弱하니 孰不以爲齊勝魯也리오 然이나 魯猶存周公之法制하고 齊由桓公之霸하여 爲從簡尙功之治하여 太公之遺法이 變易盡矣라 故로 一變이라야 乃能至魯요 魯則修擧廢墜而已니 一變則至於先王之道也라 愚謂 二國之俗을 惟夫子爲能變之로되 而不得試라 然이나 因其言以考之면 則其施爲緩急之序를 亦略可見矣니라

23. 子曰 觚不觚면 觚哉觚哉아

觚는 棱也니 或曰 酒器요 或曰 木簡이라하니 皆器之有棱者也라 不觚者는 蓋當時失其制而不爲棱也라 觚哉觚哉는 言不得爲觚也라

○ 程子曰 觚而失其形制면 則非觚也니 擧一器에 而天下之物이 莫不皆然이라 故로 君而失其君之道면 則爲不君이요 臣而失其臣之職이면 則爲虛位니라 范氏曰 人而不仁이면 則非人이요 國而不治면 則不國矣니라

24. 宰我問曰 仁者는 雖告之曰 井有仁焉이라도 其從之也로소이다 子曰 何爲其然也리오 君子는 可逝也언정 不可陷也며 可欺也언정 不可罔也니라

劉聘君曰 有仁之仁은 當作人이라하니 今從之라 從은 謂隨之於井而救之也라 宰我信道不篤하여 而憂爲仁之陷害라 故로 有此問이라 逝는 謂使之往救요 陷은 謂陷之於井이라 欺는 謂誑之以理之所有요 罔은 謂昧之以理之所無라 蓋身在井上이라야 乃可以救井中之人이니 若從之於井이면 則不復能救之矣라 此理甚明하여 人所易曉하니 仁者雖切於救人而不私其身이나 然이나 不應如此之愚也니라

25. 子曰 君子博學於文이요 約之以禮면 亦可以弗畔矣夫인저

約은 要也요 畔은 背也라 君子 學欲其博故로 於文에 無不考하고 守欲其要故로 其動을 必以禮하니 如此則可以不背於道矣리라

○ 程子曰 博學於文而不約之以禮면 必至於汗漫이니 博學矣요 又能守禮而由於規矩면 則亦可以不畔道矣리라

26. 子見南子하신대 子路不說이어늘 夫子矢之曰 予所否者인댄 天厭之 天厭之시리라

南子는 衛靈公之夫人이니 有淫行이라 孔子至衛에 南子請見한대 孔子辭謝라가 不得已而見之라 蓋古者에 仕於其國이면 有見其小君之禮어늘 而子路以夫子見此淫亂之人爲辱이라 故로 不悅이라 矢는 誓也요 所는 誓辭也니 如云所不與崔慶者之類라 否는 謂不合於禮하고 不由其道也라 厭은 棄絶也라 聖人은 道大德全하여 無可不可하니 其見惡人에 固謂在我有可見之禮면 則彼之不善이 我何與焉이리오 然이나 此豈子路所能測哉아 故로 重言以誓之하시니 欲其姑信此而深思以得之也시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