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10. 冉求曰 非不說子之道언마는 力不足也로이다 子曰 力不足者는 中道而廢하나니 今女는 畫이로다

力不足者는 欲進而不能이요 畫者는 能進而不欲이니 謂之畫者는 如畫地以自限也라

○ 胡氏曰 夫子稱顔回不改其樂하시니 冉求聞之라 故로 有是言이라 然이나 使求說夫子之道를 誠如口之說芻豢이면 則必將盡力以求之리니 何患力之不足哉아 畫而不進이면 則日退而已矣니 此冉求之所以局於藝也니라

11. 子謂子夏曰 女爲君子儒요 無爲小人儒하라

儒는 學者之稱이라 程子曰 君子儒는 爲己요 小人儒는 爲人이니라

○ 謝氏曰 君子小人之分은 義與利之間而已라 然이나 所謂利者는 豈必殖貨財之謂리오 以私滅公하고 適己自便하여 凡可以害天理者 皆利也라 子夏文學雖有餘나 然이나 意其遠者大者或昧焉이라 故로 夫子語之以此하시니라

12. 子游爲武城宰러니 子曰 女得人焉爾乎아 曰 有澹臺滅明者하니 行不由徑하며 非公事어든 未嘗至於偃之室也니이다

武城은 魯下邑이라 澹臺는 姓이요 滅明은 名이니 字子羽라 徑은 路之小而捷者라 公事는 如飮射讀法之類라 不由徑이면 則動必以正하여 而無見小欲速之意를 可知요 非公事어든 不見邑宰면 則其有以自守하여 而無枉己徇人之私를 可見矣니라

○ 楊氏曰 爲政은 以人才爲先이라 故로 孔子以得人爲問하시니 如滅明者는 觀其二事之小면 而其正大之情을 可見矣라 後世에 有不由徑者면 人必以爲迂하고 不至其室이면 人必以爲簡하리니 非孔氏之徒면 其孰能知而取之리오 愚謂 持身을 以滅明爲法이면 則無苟賤之羞요 取人을 以子游爲法이면 則無邪媚之惑이니라

13. 子曰 孟之反은 不伐이로다 奔而殿하여 將入門할새 策其馬曰 非敢後也라 馬不進也라하니라

孟之反은 魯大夫니 名側이라 胡氏曰 反은 卽莊周所稱孟子反者是也라 伐은 誇功也요 奔은 敗走也라 軍後曰殿이라 策은 鞭也라 戰敗而還에 以後爲功하니 反이 奔而殿이라 故로 以此言으로 自揜其功也니 事在哀公十一年하니라

○ 謝氏曰 人能操無欲上人之心이면 則人欲日消하고 天理日明하여 而凡可以矜己誇人者를 皆無足道矣라 然이나 不知學者는 欲上人之心이 無時而忘也니 若孟之反은 可以爲法矣로다

14. 子曰 不有祝鮀之佞이며 而有宋朝之美면 難乎免於今之世矣니라

祝은 宗廟之官이라 鮀는 衛大夫니 字子魚니 有口才라 朝는 宋公子니 有美色이라 言衰世好諛悅色하여 非此難免하니 蓋傷之也시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