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3. 子華使於齊러니 冉子爲其母請粟한대 子曰 與之釜하라 請益한대 曰與之庾하라하여시늘 冉子與之粟五秉한대

子華는 公西赤也라 使는 爲孔子使也라 釜는 六斗四升이요 庾는 十六斗요 秉은 十六斛이라

子曰 赤之適齊也에 乘肥馬하며 衣輕裘하니 吾聞之也호니 君子는 周急이요 不繼富라호라

乘肥馬 衣輕裘는 言其富也라 急은 窮迫也라 周者는 補不足이요 繼者는 續有餘라

原思爲之宰러니 與之粟九百이어시늘 辭한대

原思는 孔子弟子니 名憲이라 孔子爲魯司寇時에 以思爲宰하시니라 粟은 宰之祿也라 九百은 不言其量하니 不可考라

子曰 毋하여 以與爾鄰里鄕黨乎인저

毋는 禁止辭라 五家爲鄰이요 二十五家爲里요 萬二千五百家爲鄕이요 五百家爲黨이라 言常祿은 不當辭니 有餘어든 自可推之하여 以周貧乏이라 蓋鄰里鄕黨에는 有相周之義니라

○ 程子曰 夫子之使子華와 子華之爲夫子使는 義也어늘 而冉有乃爲之請하니 聖人이 寬容하여 不欲直拒人이라 故로 與之少하시니 所以示不當與也요 請益而與之亦少하시니 所以示不當益也어늘 求未達而自與之多하니 則已過矣라 故로 夫子非之하시니라 蓋赤苟至乏이면 則夫子必自周之요 不待請矣리라 原思爲宰면 則有常祿이어늘 思辭其多라 故로 又敎以分諸鄰里之貧者하시니 蓋亦莫非義也니라 張子曰 於斯二者에 可見聖人之用財矣니라

4. 子謂仲弓曰 犁牛之子 騂且角이면 雖欲勿用이나 山川이 其舍諸아

犁는 雜文이요 騂은 赤色이니 周人은 尙赤하여 牲用騂이라 角은 角周正하여 中犧牲也라 用은 用以祭也라 山川은 山川之神也라 言人雖不用이나 神必不舍也라 仲弓父賤而行惡이라 故로 夫子以此譬之하시니 言父之惡이 不能廢其子之善이니 如仲弓之賢은 自當見用於世也라 然이나 此論仲弓云爾요 非與仲弓言也니라

○ 范氏曰 以瞽叟爲父而有舜하고 以鯀爲父而有禹하니 古之聖賢이 不係於世類가 尙矣라 子能改父之過하여 變惡以爲美면 則可謂孝矣니라

5. 子曰 回也는 其心이 三月不違仁이요 其餘則日月至焉而已矣니라

三月은 言其久라 仁者는 心之德이니 心不違仁者는 無私欲而有其德也라 日月至焉者는 或日一至焉하고 或月一至焉하여 能造其域而不能久也라

○ 程子曰 三月은 天道小變之節이니 言其久也니 過此則聖人矣니라 不違仁은 只是無纖毫私欲이니 少有私欲이면 便是不仁이니라 尹氏曰 此는 顔子於聖人에 未達一間者也니 若聖人則渾然無間斷矣니라 張子曰 始學之要는 當知三月不違와 與日月至焉의 內外賓主之辨하여 使心意勉勉循循而不能已니 過此면 幾非在我者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