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11. 子貢曰 我不欲人之加諸我也를 吾亦欲無加諸人하노이다 子曰 賜也아 非爾所及也니라

子貢言 我所不欲人加於我之事를 我亦不欲以此加之於人이라하니 此仁者之事니 不待勉强이라 故로 夫子以爲非子貢所及이시니라

○ 程子曰 我不欲人之加諸我를 吾亦欲無加諸人은 仁也요 施諸己而不願을 亦勿施於人은 恕也니 恕則子貢或能勉之어니와 仁則非所及矣니라 愚謂 無者는 自然而然이요 勿者는 禁止之謂니 此所以爲仁恕之別이니라

12. 子貢曰 夫子之文章은 可得而聞也어니와 夫子之言性與天道는 不可得而聞也니라

文章은 德之見乎外者니 威儀文辭皆是也라 性者는 人所受之天理요 天道者는 天理自然之本體니 其實은 一理也라 言夫子之文章은 日見乎外하여 固學者所共聞이어니와 至於性與天道하여는 則夫子罕言之하사 而學者有不得聞者라 蓋聖門에 敎不躐等하여 子貢이 至是에 始得聞之하고 而歎其美也니라

○ 程子曰 此는 子貢이 聞夫子之至論而歎美之言也니라

13. 子路는 有聞이요 未之能行하여선 唯恐有聞하더라

前所聞者를 旣未及行이라 故로 恐復有所聞而行之不給也니라

○ 范氏曰 子路聞善하고 勇於必行하니 門人이 自以爲弗及也라 故로 著之라 若子路면 可謂能用其勇矣로다

14. 子貢이 問曰 孔文子를 何以謂之文也잇고 子曰 敏而好學하며 不恥下問이라 是以로 謂之文也니라

孔文子는 衛大夫니 名圉라 凡人性敏者는 多不好學하고 位高者는 多恥下問이라 故로 諡法에 有以勤學好問爲文者하니 蓋亦人所難也라 孔圉得諡爲文은 以此而已니라

○ 蘇氏曰 孔文子使太叔疾로 出其妻而妻之러니 疾이 通於初妻之娣어늘 文子怒하여 將攻之할새 訪於仲尼한대 仲尼不對하시고 命駕而行하시다 疾이 奔宋한대 文子使疾弟遺로 室孔姞하니라 其爲人如此로되 而諡曰文하니 此子貢之所以疑而問也라 孔子不沒其善하사 言能如此면 亦足以爲文矣라하시니 非經天緯地之文也니라

15. 子謂子産하사되 有君子之道四焉하니 其行己也恭하며 其事上也敬하며 其養民也惠하며 其使民也義니라

子産은 鄭大夫公孫僑라 恭은 謙遜也요 敬은 謹恪也요 惠는 愛利也라 使民義는 如都鄙有章하고 上下有服하며 田有封洫하고 廬井有伍之類라

○ 吳氏曰 數其事而責之者는 其所善者多也니 臧文仲不仁者三 不知者三이 是也요 數其事而稱之者는 猶有所未至也니 子産有君子之道四焉이 是也라 今或以一言蓋一人하고 一事蓋一時하니 皆非也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