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23. 子語魯大師樂曰 樂은 其可知也니 始作에 翕如也하여 從之에 純如也하며 皦如也하며 繹如也하여 以成이니라

語는 告也라 大師는 樂官名이라 時에 音樂廢缺이라 故로 孔子敎之라 翕은 合也요 從은 放也요 純은 和也요 皦는 明也요 繹은 相續不絶也라 成은 樂之一終也라

○ 謝氏曰 五音六律이 不具면 不足以言樂이니 翕如는 言其合也라 五音이 合矣면 淸濁高下如五味之相濟而後和라 故로 曰純如요 合而和矣면 欲其無相奪倫이라 故로 曰皦如라 然이나 豈宮自宮而商自商乎아 不相反而相連하여 如貫珠可也라 故로 曰繹如也하여 以成이라하

24. 儀封人이 請見曰 君子之至於斯也에 吾未嘗不得見也로라 從者見之한대 出曰 二三子는 何患於喪乎리오 天下之無道也 久矣라 天將以夫子로 爲木鐸이시리라

儀는 衛邑이라 封人은 掌封疆之官이니 蓋賢而隱於下位者也라 君子는 謂當時賢者니 至此에 皆得見之는 自言其平日不見絶於賢者하여 而求以自通也라 見之는 謂通使得見이라 喪은 謂失位去國이니 禮曰 喪欲速貧이 是也라 木鐸은 金口木舌이니 施政敎時에 所振以警衆者也라 言亂極當治하니 天必將使夫子로 得位設敎하여 不久失位也라 封人이 一見夫子하고 而遽以是稱之하니 其得於觀感之間者深矣라 或曰 木鐸은 所以徇于道路니 言天使夫子失位하고 周流四方하여 以行其敎를 如木鐸之徇于道路也라

25. 子謂韶하사되 盡美矣요 又盡善也라하시고 謂武하사되 盡美矣요 未盡善也라하시다

韶는 舜樂이요 武는 武王樂이라 美者는 聲容之盛이요 善者는 美之實也라 舜은 紹堯致治하고 武王은 伐紂救民하니 其功이 一也라 故로 其樂이 皆盡美라 然이나 舜之德은 性之也요 又以揖遜而有天下하고 武王之德은 反之也요 又以征誅而得天下라 故로 其實이 有不同者니라

○ 程子曰 成湯放桀에 惟有慚德하시니 武王亦然이라 故로 未盡善이라 堯舜湯武 其揆一也니 征伐은 非其所欲이요 所遇之時가 然爾니라

26. 子曰 居上不寬하며 爲禮不敬하며 臨喪不哀면 吾何以觀之哉리오

居上엔 主於愛人이라 故로 以寬爲本이요 爲禮엔 以敬爲本이요 臨喪엔 以哀爲本이니 旣無其本이면 則以何者而觀其所行之得失哉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