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17. 子貢이 欲去告朔之餼羊한대

告朔之禮는 古者에 天子常以季冬에 頒來歲十二月之朔于諸侯어든 諸侯受而藏之祖廟라가 月朔則以特羊告廟하여 請而行之라 餼는 生牲也라 魯自文公으로 始不視朔이로되 而有司猶供此羊이라 故로 子貢欲去之하니라

子曰 賜也아 爾愛其羊가 我愛其禮하노라

愛는 猶惜也라 子貢이 蓋惜其無實而妄費라 然이나 禮雖廢라도 羊存이면 猶得以識之而可復焉이어니와 若倂去其羊이면 則此禮遂亡矣니 孔子所以惜之시니라

○ 楊氏曰 告朔은 諸侯所以稟命於君親이니 禮之大者라 魯不視朔矣나 然이나 羊存이면 則告朔之名이 未泯하여 而其實을 因可擧니 此夫子所以惜之也시니라

18. 子曰 事君盡禮를 人以爲諂也로다

黃氏曰 孔子於事君之禮에 非有所加也요 如是而後에 盡爾어늘 時人이 不能하고 反以爲諂이라 故로 孔子言之하사 以明禮之當然也하시니라

○ 程子曰 聖人事君盡禮를 當時以爲諂이라하니 若他人言之면 必曰 我事君盡禮어늘 小人以爲諂이로되 而孔子之言이 止於如此하시니 聖人道大德宏을 此亦可見이니라

19. 定公이 問 君使臣하며 臣事君호되 如之何잇고 孔子對曰 君使臣以禮하며 臣事君以忠이니이다

定公은 魯君이니 名宋이라 二者는 皆理之當然이니 各欲自盡而已니라

○ 呂氏曰 使臣에 不患其不忠이요 患禮之不至하며 事君에 不患其無禮요 患忠之不足이니라 尹氏曰 君臣은 以義合者也라 故로 君使臣以禮면 則臣事君以忠이니라

20. 子曰 關雎는 樂而不淫하고 哀而不傷이니라

關雎는 周南國風이니 詩之首篇也라 淫者는 樂之過而失其正者也요 傷者는 哀之過而害於和者也라 關雎之詩는 言后妃之德이 宜配君子하니 求之未得이면 則不能無寤寐反側之憂요 求而得之면 則宜其有琴瑟鍾鼓之樂이니 蓋其憂雖深이나 而不害於和하고 其樂雖盛이나 而不失其正이라 故로 夫子稱之如此하시니 欲學者玩其辭하고 審其音하여 而有以識其性情之正也시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