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去適宋하신대 司馬桓魋 欲殺之어늘 [ 有天生德語及微服過宋事라 ] 又去適陳하사 主司城貞子家하시고 居三歲而反于衛하시니 靈公이 不能用하다 [ 有三年有成之語라 ] 晉趙氏家臣佛肹이 以中牟畔하여 召孔子어늘 孔子欲往이라가 亦不果하시다 [ 有答子路堅白語及荷蕢過門事라 ] 將西見趙簡子라가 至河而反하사 又主蘧伯玉家러시니 靈公이 問陳이어늘 不對而行하사 復如陳하시다 [ 據論語하면 則絶糧當在此時라 ]

季桓子卒에 遺言謂康子호되 必召孔子라하더니 其臣止之한대 康子乃召冉求하다 [ 史記에 以論語歸與之歎으로 爲在此時라하고 又以孟子所記歎辭로 爲主司城貞子時語라하니 疑不然이라 蓋語孟所記 本皆此一時語어늘 而所記有異同耳라 ] 孔子如蔡及葉하시니라 [ 有葉公問答子路不對와 沮溺耦耕과 荷蓧丈人等事라 史記에 云 於是에 楚昭王이 使人聘孔子하여 孔子將往拜禮어늘 而陳蔡大夫發徒圍之라 故로 孔子絶糧於陳蔡之間이라 有慍見及告子貢一貫之語라 按是時陳蔡臣服於楚하니 若楚王來聘孔子면 陳蔡大夫安敢圍之리오 且據論語컨대 絶糧當在去衛如陳之時라 ] 楚昭王이 將以書社地로 封孔子러니 令尹子西不可라하니 乃止하니라 [ 史記에 云 書社地七百里라하니 恐無此理라 時則有接輿之歌라 ] 又反乎衛하시니 時에 靈公已卒하고 衛君輒이 欲得孔子爲政하며 有魯衛兄弟及答子貢夷齊 子路正名之語라 ] 而冉求爲季氏將하여 與齊戰有功한대 康子乃召孔子어늘 而孔子歸魯하시니 實哀公之十一年丁巳而孔子年六十八矣라 [ 有對哀公及康子語라 ] 然이나 魯終不能用孔子하고 孔子亦不求仕하사 乃敍書傳禮記하시며 [ 有杞宋 損益 從周等語라 ] 刪詩正樂하시며 有語大師及樂正之語라 ] 序易彖繫象說卦文言하시니라 [ 有假我數年之語라 ] 弟子蓋三千焉에 身通六藝者 七十二人이러라 [ 弟子顔回最賢이나 蚤死하니 後惟曾參得傳孔子之道라 ] 十四年庚申에 魯西狩獲麟하니 有莫我知之歎 孔子作春秋하시니라 [ 有知我罪我等語라 論語에 請討陳恒事도 亦在是年이라 ] 明年辛酉에 子路死於衛하고 十六年壬戌四月己丑에 孔子卒하시니 年七十三이라 葬魯城北泗上하다 弟子皆服心喪三年而去로되 惟子貢은 廬於冢上하여 凡六年이러라 孔子生鯉하시니 字伯魚라 先卒하고 伯魚生伋하니 字子思니 作中庸하시니라 [ 子思學於曾子하고 而孟子受業子思之門人이라 ]

何氏曰 魯論語는 二十篇이요 齊論語는 別有問王知道하여 凡二十二篇이요 其二十篇中章句도 頗多於魯論이라 古論은 出孔氏壁中하니 分堯曰下章子張問하여 以爲一篇하여 有兩子張하니 凡二十一篇이요 篇次不與齊魯論同이니라

程子曰 論語之書는 成於有子曾子之門人이라 故로 其書獨二子以子稱하니라

程子曰 讀論語에 有讀了全然無事者하며 有讀了後에 其中得一兩句喜者하며 有讀了後에 知好之者하며 有讀了後에 直有不知手之舞之足之蹈之者니라

程子曰 今人은 不會讀書로다 如讀論語에 未讀時도 是此等人이요 讀了後에도 又只是此等人이면 便是不曾讀이니라

程子曰 頤自十七八로 讀論語하니 當時已曉文義러니 讀之愈久에 但覺意味深長이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