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2. 子曰 恭而無禮則勞하고 愼而無禮則?하고 勇而無禮則亂하고 直而無禮則絞니라

?는 畏懼貌요 絞는 急切也라 無禮則無節文이라 故로 有四者之弊라

君子篤於親이면 則民興於仁하고 故舊를 不遺면 則民不偸니라

君子는 謂在上之人也라 興은 起也요 偸는 薄也라

○ 張子曰 人道에 知所先後면 則恭不勞하고 愼不?하고 勇不亂하고 直不絞하여 民化而德厚矣리라

○ 吳氏曰 君子以下는 當自爲一章이니 乃曾子之言也니라 愚按 此一節은 與上文不相蒙하고 而與首篇謹終追遠之意로 相類하니 吳說이 近是니라

3. 曾子有疾하사 召門弟子曰 啓予足하며 啓予手하라 詩云 戰戰兢兢하여 如臨深淵하며 如履薄氷이라하니 而今而後에야 吾知免夫로라 小子아

啓는 開也라 曾子平日에 以爲身體受於父母하니 不敢毁傷이라 故로 於此에 使弟子로 開其衾而視之라 詩는 小旻之篇이라 戰戰은 恐懼요 兢兢은 戒謹이라 臨淵은 恐墜요 履氷은 恐陷也라 曾子以其所保之全으로 示門人하시고 而言其所以保之之難如此하여 至於將死而後에 知其得免於毁傷也라 小子는 門人也니 語畢而又呼之하여 以致反復丁寧之意하시니 其警之也 深矣로다

○ 程子曰 君子曰終이요 小人曰死니 君子保其身以沒을 爲終其事也라 故로 曾子以全歸爲免矣시니라 尹氏曰 父母全而生之하시니 子全而歸之니 曾子臨終而啓手足은 爲是故也라 非有得於道면 能如是乎아 范氏曰 身體도 猶不可虧也온 況虧其行하여 以辱其親乎아

4. 曾子有疾이어시늘 孟敬子問之러니

孟敬子는 魯大夫仲孫氏니 名捷이라 問之者는 問其疾也라

曾子言曰 鳥之將死에 其鳴也哀하고 人之將死에 其言也善이니라

言은 自言也라 鳥畏死라 故로 鳴哀하고 人窮反本이라 故로 言善이라 此는 曾子之謙辭니 欲敬子知其所言之善而識之也라

君子所貴乎道者三이니 動容貌에 斯遠暴慢矣며 正顔色에 斯近信矣며 出辭氣에 斯遠鄙倍矣니 ?豆之事則有司存이니라

貴는 猶重也라 容貌는 擧一身而言이라 暴는 粗?也요 慢은 放肆也라 信은 實也니 正顔色而近信이면 則非色莊也라 辭는 言語요 氣는 聲氣也라 鄙는 凡陋也요 倍는 與背同하니 謂背理也라 ?은 竹豆요 豆는 木豆라 言道雖無所不在라 然이나 君子所重者는 在此三事而已라 是皆修身之要요 爲政之本이니 學者所當操存省察이요 而不可有造次顚沛之違者也라 若夫?豆之事는 器數之末이니 道之全體 固無不該나 然이나 其分則有司之守요 而非君子之所重矣라 程子曰 動容貌는 擧一身而言也니 周旋中禮면 暴慢斯遠矣요 正顔色이면 則不妄이니 斯近信矣요 出辭氣에 正由中出이면 斯遠鄙倍라 三者는 正身而不外求라 故로 曰 ?豆之事則有司存이라하시니라 尹氏曰 養於中이면 則見於外라 曾子蓋以修己로 爲爲政之本하시니 若乃器用事物之細는 則有司存焉이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