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29. 子曰 仁遠乎哉아 我欲仁이면 斯仁이 至矣니라

仁者는 心之德이니 非在外也로되 放而不求라 故로 有以爲遠者라 反而求之면 則卽此而在矣니 夫豈遠哉리오

○ 程子曰 爲仁由己라 欲之則至니 何遠之有리오

30. 陳司敗問 昭公이 知禮乎잇가 孔子曰 知禮시니라

陳은 國名이요 司敗는 官名이니 卽司寇也라 昭公은 魯君이니 名稠니 習於威儀之節하여 當時以爲知禮라 故로 司敗以爲問에 而孔子答之如此하시니라

孔子退어시늘 揖巫馬期而進之하여 曰 吾聞君子不黨이라하니 君子亦黨乎아 君取於吳하니 爲同姓이라 謂之吳孟子라하니 君而知禮면 孰不知禮리오

巫馬는 姓이요 期는 字니 孔子弟子로 名施라 司敗揖而進之也라 相助匿非曰黨이라 禮에 不取同姓이어늘 而魯與吳皆姬姓이니 謂之吳孟子者는 諱之하여 使若宋女子姓者然이라

巫馬期以告한대 子曰 丘也幸이로다 苟有過어든 人必知之온여

孔子不可自謂諱君之惡이요 又不可以取同姓爲知禮라 故로 受以爲過而不辭하시니라

○ 吳氏曰 魯는 蓋夫子父母之國이요 昭公은 魯之先君也라 司敗又未嘗顯言其事하고 而遽以知禮爲問하니 其對之 宜如此也라 及司敗以爲有黨하여는 而夫子受以爲過하시니 蓋夫子之盛德이 無所不可也라 然이나 其受以爲過也에 亦不正言其所以過하여 初若不知孟子之事者하시니 可以爲萬世之法矣로다

31. 子與人歌而善이어든 必使反之하시고 而後和之러시다

反은 復也라 必使復歌者는 欲得其詳而取其善也요 而後和之者는 喜得其詳而與其善也라 此見聖人氣象從容하고 誠意懇至하사 而其謙遜審密하여 不掩人善이 又如此하니 蓋一事之微에 而衆善之集을 有不可勝旣者焉이니 讀者宜詳味之니라

32. 子曰 文莫吾猶人也아 躬行君子는 則吾未之有得호라

莫은 疑辭라 猶人은 言不能過人而尙可以及人이요 未之有得은 則全未有得이니 皆自謙之辭로되 而足以見言行之難易緩急이니 欲人之勉其實也시니라

○ 謝氏曰 文은 雖聖人이나 無不與人同이라 故로 不遜하시고 能躬行君子라야 斯可以入聖이라 故로 不居하시니 猶言君子道者三에 我無能焉이니라

33. 子曰 若聖與仁은 則吾豈敢이리오 抑爲之不厭하며 誨人不倦은 則可謂云爾已矣니라 公西華曰 正唯弟子不能學也로소이다

此亦夫子之謙辭也라 聖者는 大而化之요 仁은 則心德之全而人道之備也라 爲之는 謂爲仁聖之道요 誨人은 亦謂以此敎人也라 然이나 不厭不倦은 非己有之면 則不能이니 所以弟子不能學也니라

○ 晁氏曰 當時에 有稱夫子聖且仁者라 以故로 夫子辭之하시니 苟辭之而已焉이면 則無以進天下之材하고 率天下之善하여 將使聖與仁爲虛器하여 而人終莫能至矣라 故로 夫子雖不居仁聖이나 而必以爲之不厭과 誨人不倦으로 自處也라 可謂云爾已矣者는 無他之辭也라 公西華仰而歎之하니 其亦深知夫子之意矣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