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13. 子在齊聞韶하시고 三月을 不知肉味하사 曰 不圖爲樂之至於斯也호라

史記엔 三月上에 有學之二字라 不知肉味는 蓋心一於是而不及乎他也라 曰 不意舜之作樂이 至於如此之美라하시니 則有以極其情文之備하여 而不覺其歎息之深也라 蓋非聖人이면 不足以及此니라

○ 范氏曰 韶는 盡美又盡善하니 樂之無以加此也라 故로 學之三月을 不知肉味하사 而歎美之如此하시니 誠之至요 感之深也니라

14. ?有曰 夫子爲衛君乎아 子貢曰 諾다 吾將問之호리라

爲는 猶助也라 衛君은 出公輒也라 靈公이 逐其世子??러니 公薨에 而國人이 立??之子輒이라 於是에 晉納??而輒拒之하니라 時에 孔子居衛하시니 衛人以??得罪於父하고 而輒嫡孫當立이라 故로 ?有疑而問之라 諾은 應辭也라

入曰 伯夷叔齊는 何人也잇고 曰 古之賢人也니라 曰 怨乎잇가 曰 求仁而得仁이어니 又何怨이리오 出曰 夫子不爲也시리라

伯夷叔齊는 孤竹君之二子라 其父將死에 遺命立叔齊러니 父卒에 叔齊遜伯夷한대 伯夷曰父命也라하고 遂逃去하니 叔齊亦不立而逃之한대 國人이 立其中子하니라 其後武王伐紂에 夷齊?馬而諫이러니 武王滅商한대 夷齊恥食周粟하여 去隱于首陽山이라가 遂餓而死하니라 怨은 猶悔也라 君子居是邦에 不非其大夫어든 況其君乎아 故로 子貢이 不斥衛君하고 而以夷齊爲問이어늘 夫子告之如此하시니 則其不爲衛君을 可知矣라 蓋伯夷以父命爲尊하고 叔齊以天倫爲重하니 其遜國也가 皆求所以合乎天理之正而卽乎人心之安이요 旣而各得其志焉하여는 則視棄其國을 猶??爾니 何怨之有리오 若衛輒之據國拒父而唯恐失之는 其不可同年而語가 明矣니라

○ 程子曰 伯夷叔齊 遜國而逃하고 諫伐而餓호되 終無怨悔하니 夫子以爲賢이라 故로 知其不與輒也니라

15. 子曰 飯疏食飮水하고 曲肱而枕之라도 樂亦在其中矣니 不義而富且貴는 於我에 如浮雲이니라

飯은 食之也요 疏食는 ?飯也라 聖人之心이 渾然天理하여 雖處困極이나 而樂亦無不在焉이라 其視不義之富貴를 如浮雲之無有하여 漠然無所動於其中也시니라

○ 程子曰 非樂疏食飮水也라 雖疏食飮水라도 不能改其樂也니 不義之富貴를 視之輕如浮雲然이니라 又曰 須知所樂者何事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