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7. 子曰 自行束脩以上은 吾未嘗無誨焉이로라

脩는 脯也니 十?爲束이라 古者相見에 必執贄以爲禮하니 束脩는 其至薄者라 蓋人之有生이 同具此理라 故로 聖人之於人에 無不欲其入於善이로되 但不知來學이면 則無往敎之禮라 故로 苟以禮來면 則無不有以敎之也라

8. 子曰 不憤이어든 不啓하며 不?어든 不發호되 擧一隅에 不以三隅反이어든 則不復也니라

憤者는 心求通而未得之意요 ?者는 口欲言而未能之貌라 啓는 謂開其意요 發은 謂達其辭라 物之有四隅者는 擧一이면 可知其三이라 反者는 還以相證之義라 復는 再告也라 上章에 已言聖人誨人不倦之意하시고 因幷記此하여 欲學者勉於用力하여 以爲受敎之地也시니라

○ 程子曰 憤?는 誠意之見於色辭者也니 待其誠至而後에 告之요 旣告之면 又必待其自得하여 乃復告爾니라 又曰 不待憤?而發이면 則知之不能堅固요 待其憤?而後發이면 則沛然矣리라

9. 子食於有喪者之側에 未嘗飽也러시다

臨喪哀하여 不能甘也라

子於是日에 哭則不歌러시다

哭은 謂弔哭이니 一日之內에 餘哀未忘하여 自不能歌也라

○ 謝氏曰 學者於此二者에 可見聖人情性之正也니 能識聖人之情性然後에 可以學道니라

10. 子謂顔淵曰 用之則行하고 舍之則藏을 惟我與爾有是夫인저

尹氏曰 用舍는 無與於己요 行藏은 安於所遇니 命不足道也라 顔子幾於聖人이라 故로 亦能之니라

子路曰 子行三軍이면 則誰與시리잇고

萬二千五百人이 爲軍이니 大國은 三軍이라 子路見孔子獨美顔淵하고 自負其勇하여 意夫子若行三軍이면 必與己同하니라

子曰 暴虎馮河하여 死而無悔者를 吾不與也니 必也臨事而懼하며 好謀而成者也니라

暴虎는 徒搏이오 馮河는 徒涉이라 懼는 謂敬其事요 成은 謂成其謀라 言此는 皆以抑其勇而敎之라 然이나 行師之要 實不外此하니 子路蓋不知也라

○ 謝氏曰 聖人이 於行藏之間에 無意無必하여 其行이 非貪位요 其藏이 非獨善也라 若有欲心이면 則不用而求行하고 舍之而不藏矣리라 是以로 惟顔子爲可以與於此라 子路는 雖非有欲心者나 然이나 未能無固必也요 至以行三軍爲問하여는 則其論이 益卑矣라 夫子之言은 蓋因其失而救之시니라 夫不謀無成하고 不懼必敗는 小事尙然이어든 而況於行三軍乎아

11. 子曰 富而可求也인댄 雖執鞭之士라도 吾亦爲之어니와 如不可求인댄 從吾所好호리라

執鞭은 賤者之事라 設言富若可求인댄 則雖身爲賤役以求之라도 亦所不辭라 然이나 有命焉하여 非求之可得也면 則安於義理而已矣니 何必徒取辱哉아

○ 蘇氏曰 聖人이 未嘗有意於求富也시니 豈問其可不可哉시리오 爲此語者는 特以明其決不可求爾시니라 楊氏曰 君子非惡富貴而不求라 以其在天하여 無可求之道也니라

12. 子之所愼은 齊戰疾이러시다

齊之爲言은 齊也니 將祭而齊其思慮之不齊者하여 以交於神明也니 誠之至與不至와 神之享與不享이 皆決於此라 戰은 則衆之死生과 國之存亡이 繫焉이요 疾은 又吾身之所以死生存亡者니 皆不可以不謹也라

○ 尹氏曰 夫子無所不謹하시니 弟子記其大者耳니라

13. 子在齊聞韶하시고 三月을 不知肉味하사 曰 不圖爲樂之至於斯也호라

史記엔 三月上에 有學之二字라 不知肉味는 蓋心一於是而不及乎他也라 曰 不意舜之作樂이 至於如此之美라하시니 則有以極其情文之備하여 而不覺其歎息之深也라 蓋非聖人이면 不足以及此니라

○ 范氏曰 韶는 盡美又盡善하니 樂之無以加此也라 故로 學之三月을 不知肉味하사 而歎美之如此하시니 誠之至요 感之深也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