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6. 季康子問 仲由는 可使從政也與잇가 子曰 由也는 果하니 於從政乎에 何有리오 曰 賜也는 可使從政也與잇가 曰 賜也는 達하니 於從政乎에 何有리오 曰 求也는 可使從政也與잇가 曰 求也는 藝하니 於從政乎에 何有리오

從政은 謂爲大夫라 果는 有決斷이요 達은 通事理요 藝는 多才能이라

○ 程子曰 季康子問 三子之才可以從政乎아한대 夫子答以各有所長하시니 非惟三子라 人各有所長하니 能取其長이면 皆可用也니라

7. 季氏使閔子騫으로 爲費宰한대 閔子騫曰 善爲我辭焉하라 如有復我者면 則吾必在汶上矣로리라

閔子騫은 孔子弟子니 名損이라 費는 季氏邑이라 汶은 水名이니 在齊南魯北竟上이라 閔子不欲臣季氏하여 令使者善爲己辭라 言若再來召我면 則當去之齊라하니라

○ 程子曰 仲尼之門에 能不仕大夫之家者는 閔子曾子數人而已니라 謝氏曰 學者能少知內外之分이면 皆可以樂道而忘人之勢라 況閔子 得聖人하여 爲之依歸하니 彼其視季氏不義之富貴를 不?犬?하니 又從而臣之가 豈其心哉리오 在聖人則有不然者하니 蓋居亂邦 見惡人은 在聖人則可커니와 自聖人以下는 剛則必取禍하고 柔則必取辱하나니 閔子豈不能早見而豫待之乎아 如由也는 不得其死하고 求也는 爲季氏附益하니 夫豈其本心哉리오 蓋旣無先見之知하고 又無克亂之才故也라 然則閔子其賢乎인저

8. 伯牛有疾이어늘 子問之하실새 自?로 執其手曰 亡之러니 命矣夫인저 斯人也 而有斯疾也할새 斯人也 而有斯疾也할새

伯牛는 孔子弟子니 姓?이요 名耕이라 有疾은 先儒以爲癩也라 ?는 南?也라 禮에 病者居北?下하나니 君視之면 則遷於南?下하여 使君得以南面視己라 時에 伯牛家以此禮尊孔子하니 孔子不敢當이라 故로 不入其室하고 而自?執其手하시니 蓋與之永訣也라 命은 謂天命이라 言此人이 不應有此疾이어늘 而今乃有之하니 是乃天之所命也라 然則非其不能謹疾而有以致之를 亦可見矣니라

○ 侯氏曰 伯牛以德行稱하여 亞於顔閔이라 故로 其將死也에 孔子尤痛惜之하시니라

9. 子曰 賢哉라 回也여 一簞食와 一瓢飮으로 在陋巷을 人不堪其憂어늘 回也不改其樂하니 賢哉라 回也여

簞은 竹器요 食는 飯也요 瓢는 瓠也라 顔子之貧이 如此로되 而處之泰然하여 不以害其樂이라 故로 夫子再言賢哉回也하여 以深嘆美之하시니라

○ 程子曰 顔子之樂은 非樂簞瓢陋巷也요 不以貧?累其心而改其所樂也라 故로 夫子稱其賢하시니라 又曰 簞瓢陋巷은 非可樂이요 蓋自有其樂爾니 其字當玩味니 自有深意니라 又曰 昔受學於周茂叔할새 每令尋仲尼顔子樂處의 所樂何事하시니라 愚按 程子之言이 引而不發하시니 蓋欲學者深思而自得之니 今亦不敢妄爲之說하노라 學者但當從事於博文約禮之誨하여 以至於欲罷不能而竭其才면 則庶乎有以得之矣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