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崔子弑齊君이어늘 陳文子有馬十乘이러니 棄而違之하고 至於他邦하여 則曰 猶吾大夫崔子也라하고 違之하며 之一邦하여 則又曰 猶吾大夫崔子也라하고 違之하니 何如하니잇고 子曰 淸矣니라 曰 仁矣乎잇가 曰 未知로라 焉得仁이리오

崔子는 齊大夫니 名?라 齊君은 莊公이니 名光이라 陳文子는 亦齊大夫니 名須無라 十乘은 四十匹也라 違는 去也라 文子潔身去亂하니 可謂淸矣라 然이나 未知其心果見義理之當然하여 而能脫然無所累乎아 抑不得已於利害之私하여 而猶未免於怨悔也라 故로 夫子特許其淸하시고 而不許其仁하시니라

愚聞之師호니 曰 當理而無私心이면 則仁矣라하시니 今以是而觀二子之事하면 雖其制行之高가 若不可及이나 然이나 皆未有以見其必當於理而眞無私心也라 子張이 未識仁體하고 而悅於苟難하여 遂以小者로 信其大者하니 夫子之不許也宜哉인저 讀者於此에 更以上章不知其仁과 後篇仁則吾不知之語와 幷與三仁夷齊之事觀之면 則彼此交盡하여 而仁之爲義를 可識矣리라 今以他書考之하면 子文之相楚에 所謀者 無非僭王猾夏之事요 文子之仕齊에 旣失正君討賊之義하고 又不數歲而復反於齊焉하니 則其不仁을 亦可見矣니라

19. 季文子三思而後에 行하더니 子聞之하시고 曰 再斯可矣니라

季文子는 魯大夫니 名行父라 每事를 必三思而後에 行하니 若使晉而求遭喪之禮以行이 亦其一事也라 斯는 語辭라 程子曰 爲惡之人은 未嘗知有思하나니 有思則爲善矣라 然이나 至於再則已審이요 三則私意起而反惑矣라 故로 夫子譏之하시니라

○ 愚按 季文子慮事如此하니 可謂詳審而宜無過擧矣로되 而宣公簒立에 文子乃不能討하고 反爲之使齊而納賂焉하니 豈非程子所謂私意起而反惑之驗歟아 是以로 君子務窮理而貴果斷이요 不徒多思之爲尙이니라

20. 子曰 ?武子邦有道則知하고 邦無道則愚하니 其知는 可及也어니와 其愚는 不可及也니라

?武子는 衛大夫니 名兪라 按春秋傳컨대 武子仕衛는 當文公成公之時하니 文公有道어늘 而武子無事可見하니 此其知之可及也요 成公無道하여 至於失國이어늘 而武子周旋其間하고 盡心竭力하여 不避艱險하니 凡其所處가 皆智巧之士所深避而不肯爲者로되 而能卒保其身하고 以濟其君하니 此其愚之不可及也니라

○ 程子曰 邦無道에 能沈晦以免患이라 故로 曰不可及也라하시니라 亦有不當愚者하니 比干이 是也니라

21. 子在陳하사 曰 歸與歸與인저 吾黨之小子狂簡하여 斐然成章이요 不知所以裁之로다

此는 孔子周流四方하사되 道不行而思歸之歎也라 吾黨小子는 指門人之在魯者라 狂簡은 志大而略於事也라 斐는 文貌요 成章은 言其文理成就하여 有可觀者라 裁는 割正也라 夫子初心은 欲行其道於天下러시니 至是而知其終不用也라 於是에 始欲成就後學하여 以傳道於來世하시고 又不得中行之士하여 而思其次하시니 以爲狂士志意高遠하여 猶或可與進於道也라 但恐其過中失正而或陷於異端耳라 故로 欲歸而裁之也시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