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8. 子謂子貢曰 女與回也로 孰愈오

愈는 勝也라

對曰 賜也何敢望回리잇고 回也는 聞一以知十하고 賜也는 聞一以知二하노이다

一은 數之始요 十은 數之終이라 二者는 一之對也라 顔子는 明睿所照에 卽始而見終하고 子貢은 推測而知하여 因此而識彼하니 無所不說과 告往知來가 是其驗矣니라

子曰 弗如也니라 吾與女의 弗如也하노라

與는 許也라

○ 胡氏曰 子貢方人에 夫子旣語以不暇하시고 又問其與回孰愈하여 以觀其自知之如何시니라 聞一知十은 上知之資니 生知之亞也요 聞一知二는 中人以上之資니 學而知之之才也라 子貢平日에 以己方回하여 見其不可企及이라 故로 喩之如此하니 夫子以其自知之明而又不難於自屈이라 故로 旣然之하시고 又重許之하시니 此其所以終聞性與天道요 不特聞一知二而已也니라

9. 宰予晝寢이어늘 子曰 朽木은 不可雕也요 糞土之墻은 不可?也니 於予與에 何誅리오

晝寢은 謂當晝而寐라 朽는 腐也요 雕는 刻?也요 ?는 ?也니 言其志氣昏惰하여 敎無所施也라 與는 語辭라 誅는 責也니 言不足責은 乃所以深責之시니라

子曰 始吾於人也에 聽其言而信其行이러니 今吾於人也에 聽其言而觀其行하노니 於予與에 改是로라

宰予能言而行不逮라 故로 孔子自言於予之事而改此失이라하시니 亦以重警之也시니라 胡氏曰 子曰은 疑衍文이라 不然이면 則非一日之言也니라

○ 范氏曰 君子之於學에 惟日孜孜하여 斃而後已하여 惟恐其不及也어늘 宰予晝寢하니 自棄孰甚焉고 故로 夫子責之시니라 胡氏曰 宰予不能以志帥氣하여 居然而倦하니 是는 宴安之氣勝하고 儆戒之志惰也라 古之聖賢이 未嘗不以懈惰荒寧爲懼하고 勤勵不息自强하니 此孔子所以深責宰予也시니라 聽言觀行은 聖人이 不待是而後能이요 亦非緣此而盡疑學者라 特因此立敎하여 以警群弟子하여 使謹於言而敏於行耳시니라

10. 子曰 吾未見剛者로라 或對曰 申?이니이다 子曰 ?也는 慾이어니 焉得剛이리오

剛은 堅强不屈之意니 最人所難能者라 故로 夫子歎其未見이라 申?은 弟子姓名이라 慾은 多嗜慾也니 多嗜慾이면 則不得爲剛矣니라

○ 程子曰 人有慾則無剛하고 剛則不屈於慾이니라 謝氏曰 剛與慾은 正相反이니 能勝物之謂剛이라 故로 常伸於萬物之上하고 爲物?之謂慾이라 故로 常屈於萬物之下라 自古로 有志者少하고 無志者多하니 宜夫子之未見也라 ?之慾은 不可知나 其爲人이 得非??自好者乎아 故로 或者疑以爲剛이라 然이나 不知此其所以爲慾耳니라

11. 子貢曰 我不欲人之加諸我也를 吾亦欲無加諸人하노이다 子曰 賜也아 非爾所及也니라

子貢言 我所不欲人加於我之事를 我亦不欲以此加之於人이라하니 此仁者之事니 不待勉强이라 故로 夫子以爲非子貢所及이시니라

○ 程子曰 我不欲人之加諸我를 吾亦欲無加諸人은 仁也요 施諸己而不願을 亦勿施於人은 恕也니 恕則子貢或能勉之어니와 仁則非所及矣니라 愚謂 無者는 自然而然이요 勿者는 禁止之謂니 此所以爲仁恕之別이니라

12. 子貢曰 夫子之文章은 可得而聞也어니와 夫子之言性與天道는 不可得而聞也니라

文章은 德之見乎外者니 威儀文辭皆是也라 性者는 人所受之天理요 天道者는 天理自然之本體니 其實은 一理也라 言夫子之文章은 日見乎外하여 固學者所共聞이어니와 至於性與天道하여는 則夫子罕言之하사 而學者有不得聞者라 蓋聖門에 敎不?等하여 子貢이 至是에 始得聞之하고 而歎其美也니라

○ 程子曰 此는 子貢이 聞夫子之至論而歎美之言也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