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6. 子曰 我未見好仁者와 惡不仁者로라 好仁者는 無以尙之요 惡不仁者는 其爲仁矣에 不使不仁者로 加乎其身이니라

夫子自言 未見好仁者와 惡不仁者로라 蓋好仁者는 眞知仁之可好라 故로 天下之物이 無以加之요 惡不仁者는 眞知不仁之可惡라 故로 其所以爲仁者必能絶去不仁之事하여 而不使少有及於其身이니 此皆成德之事라 故로 難得而見之也니라

有能一日用其力於仁矣乎아 我未見力不足者로라

言好仁 惡不仁者를 雖不可見이나 然이나 或有人果能一旦奮然用力於仁이면 則我又未見其力有不足者라 蓋爲仁在己라 欲之則是니 而志之所至에 氣必至焉이라 故로 仁雖難能이나 而至之亦易也니라

蓋有之矣어늘 我未之見也로다

蓋는 疑辭라 有之는 謂有用力而力不足者라 蓋人之氣質不同이라 故로 疑亦容或有此昏弱之甚하여 欲進而不能者어늘 但我偶未之見耳라 蓋不敢終以爲易하고 而又歎人之莫肯用力於仁也시니라

○ 此章은 言仁之成德이 雖難其人이나 然이나 學者苟能實用其力이면 則亦無不可至之理라 但用力而不至者를 今亦未見其人焉하니 此夫子所以反覆而歎息之也시니라

7. 子曰 人之過也 各於其黨이니 觀過면 斯知仁矣니라

黨은 類也라 程子曰 人之過也 各於其類니 君子는 常失於厚하고 小人은 常失於薄하며 君子는 過於愛하고 小人은 過於忍이니라 尹氏曰 於此觀之면 則人之仁不仁을 可知矣니라

○ 吳氏曰 後漢吳祐 謂 ?以親故로 受汚辱之名이라하니 所謂觀過知仁이 是也니라 愚按此亦但言人雖有過나 猶可卽此而知其厚薄이요 非謂必俟其有過而後에 賢否可知也니라

8. 子曰 朝聞道면 夕死라도 可矣니라

道者는 事物當然之理니 苟得聞之면 則生順死安하여 無復遺恨矣라 朝夕은 所以甚言其時之近이라

○ 程子曰 言人不可以不知道니 苟得聞道면 雖死라도 可也니라 又曰 皆實理也니 人知而信者爲難이라 死生亦大矣니 非誠有所得이면 豈以夕死爲可乎아

9. 子曰 士志於道而恥惡衣惡食者는 未足與議也니라

心欲求道로되 而以口體之奉不若人으로 爲恥면 其識趣之卑陋甚矣니 何足與議於道哉리오

○ 程子曰 志於道而心役乎外면 何足與議也리오

10. 子曰 君子之於天下也에 無適也하며 無莫也하여 義之與比니라

適은 專主也니 春秋傳曰 吾誰適從이 是也라 莫은 不肯也라 比는 從也라

○ 謝氏曰 適은 可也요 莫은 不可也니 無可 無不可하여 苟無道以主之면 不幾於猖狂自恣乎아 此佛老之學이 所以自謂心無所住而能應變이라하나 而卒得罪於聖人也라 聖人之學은 不然하여 於無可無不可之間에 有義存焉하니 然則君子之心이 果有所倚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