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6. 季氏旅於泰山이러니 子謂?有曰 女弗能救與아 對曰 不能이로소이다 子曰 嗚呼라 曾謂泰山이 不如林放乎아

旅는 祭名이라 泰山은 山名이니 在魯地라 禮에 諸侯祭封內山川하니 季氏祭之는 僭也라 ?有는 孔子弟子니 名求니 時爲季氏宰라 救는 謂救其陷於僭竊之罪라 嗚呼는 歎辭라 言神不享非禮하니 欲季氏知其無益而自止요 又進林放以??有也시니라

○ 范氏曰 ?有從季氏하니 夫子豈不知其不可告也리오 然而聖人이 不輕絶人하여 盡己之心하시니 安知?有之不能救와 季氏之不可諫也리오 旣不能正이면 則美林放以明泰山之不可誣하시니 是亦敎誨之道也니라

7. 子曰 君子無所爭이나 必也射乎인저 揖讓而升하여 下而飮하나니 其爭也君子니라

揖讓而升者는 大射之禮에 ?進三揖而後에 升堂也라 下而飮은 謂射畢揖降하여 以俟衆?皆降하여 勝者乃揖하면 不勝者升하여 取?立飮也라 言君子恭遜하여 不與人爭하고 惟於射而後에 有爭이라 然이나 其爭也雍容揖遜이 乃如此하니 則其爭也君子而非若小人之爭也니라

8. 子夏問曰 巧笑?兮며 美目盼兮여 素以爲絢兮라하니 何謂也잇고

此는 逸詩也라 ?은 好口輔也요 盼은 目黑白分也라 素는 粉地니 ?之質也요 絢은 采色이니 ?之飾也라 言人有此?盼之美質하고 而又加以華采之飾이니 如有素地而加采色也라 子夏疑其反謂以素爲飾이라 故로 問之하니라

子曰 繪事後素니라

繪事는 繪?之事也라 後素는 後於素也라 考工記曰 繪?之事後素功이라하니 謂先以粉地爲質而後에 施五采하니 猶人有美質然後에 可加文飾이라

曰 禮後乎인저 子曰 起予者는 商也로다 始可與言詩已矣로다

禮는 必以忠信爲質이니 猶繪事必以粉素爲先이라 起는 猶發也니 起予는 言能起發我之志意라 謝氏曰 子貢은 因論學而知詩하고 子夏는 因論詩而知學이라 故로 皆可與言詩니라

○ 楊氏曰 甘受和하고 白受采하고 忠信之人이라야 可以學禮라 苟無其質이면 禮不虛行이니 此繪事後素之說也라 孔子曰 繪事後素라하신대 而子夏曰 禮後乎인저하니 可謂能繼其志矣로다 非得之言意之表者면 能之乎아 商賜可與言詩者는 以此라 若夫玩心於章句之末이면 則其爲詩也固而已矣니라 所謂起予는 則亦相長之義也니라

9. 子曰 夏禮를 吾能言之나 杞不足徵也며 殷禮를 吾能言之나 宋不足徵也는 文獻이 不足故也니 足則吾能徵之矣로리라

杞는 夏之後요 宋은 殷之後라 徵은 證也라 文은 典籍也요 獻은 賢也라 言二代之禮를 我能言之나 而二國이 不足取以爲證하니 以其文獻不足故也라 文獻이 若足이면 則我能取之하여 以證吾言矣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