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2. 三家者 以雍徹이러니 子曰 相維?公이어늘 天子穆穆을 奚取於三家之堂고

三家는 魯大夫孟孫叔孫季孫之家也라 雍은 周頌篇名이라 徹은 祭畢而收其俎也라 天子宗廟之祭에는 則歌雍以徹하나니 是時에 三家僭而用之라 相은 助也요 ?公은 諸侯也라 穆穆은 深遠之意니 天子之容也라 此는 雍詩之辭니 孔子引之하사 言三家之堂에 非有此事어늘 亦何取於此義而歌之乎아하시니 譏其無知妄作하여 以取僭竊之罪하시니라

○ 程子曰 周公之功이 固大矣나 皆臣子之分所當爲니 魯安得獨用天子禮樂哉아 成王之賜와 伯禽之受 皆非也라 其因襲之弊가 遂使季氏僭八佾하고 三家僭雍徹이라 故로 仲尼譏之시니라

3. 子曰 人而不仁이면 如禮何며 人而不仁이면 如樂何리오

游氏曰 人而不仁이면 則人心亡矣니 其如禮樂何哉리오 言雖欲用之나 而禮樂이 不爲之用也니라

○ 程子曰 仁者는 天下之正理니 失正理면 則無序而不和니라 李氏曰 禮樂은 待人而後行이니 苟非其人이면 則雖玉帛交錯하고 鍾鼓??이라도 亦將如之何哉리오 然이나 記者序此於八佾雍徹之後하니 疑其爲僭禮樂者發也니라

4. 林放이 問禮之本한대

林放은 魯人이니 見世之爲禮者專事繁文하고 而疑其本之不在是也라 故로 以爲問이라

子曰 大哉라 問이여

孔子以時方逐末이어늘 而放獨有志於本이라 故로 大其問이라 蓋得其本이면 則禮之全體 無不在其中矣니라

禮는 與其奢也론 寧儉이요 喪은 與其易也론 寧戚이니라

易는 治也라 孟子曰 易其田疇라하니 在喪禮면 則節文習熟而無哀痛慘?之實者也라 戚은 則一於哀而文不足耳라 禮貴得中하니 奢易則過於文이요 儉戚則不及而質이니 二者皆未合禮라 然이나 凡物之理는 必先有質而後有文하니 則質乃禮之本也니라

○ 范氏曰 夫祭는 與其敬不足而禮有餘也론 不若禮不足而敬有餘也며 喪은 與其哀不足而禮有餘也론 不若禮不足而哀有餘也니 禮失之奢와 喪失之易는 皆不能反本而隨其末故也라 禮奢而備가 不若儉而不備之愈也요 喪易而文이 不若戚而不文之愈也니 儉者는 物之質이요 戚者는 心之誠이라 故로 爲禮之本이니라 楊氏曰 禮는 始諸飮食이라 故로 ?尊而?飮이러니 爲之???豆?爵之飾은 所以文之也니 則其本은 儉而已요 喪은 不可以徑情而直行일새 爲之衰麻哭踊之數는 所以節之也니 則其本은 戚而已라 周衰에 世方以文滅質이어늘 而林放이 獨能問禮之本이라 故로 夫子大之而告之以此하시니라

5. 子曰 夷狄之有君이 不如諸夏之亡也니라

吳氏曰 亡는 古無字通用이라 程子曰 夷狄도 且有君長하니 不如諸夏之僭亂하여 反無上下之分也니라

○ 尹氏曰 孔子傷時之亂而歎之也시니 無는 非實無也요 雖有之나 不能盡其道爾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