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보기

5. 孟懿子問孝한대 子曰 無違니라

孟懿子는 魯大夫仲孫氏니 名何忌라 無違는 謂不背於理라

樊遲御러니 子告之曰 孟孫이 問孝於我어늘 我對曰 無違라호라

樊遲는 孔子弟子니 名須라 御는 爲孔子御車也라 孟孫은 卽仲孫也라 夫子以懿子未達而不能問하니 恐其失指而以從親之令爲孝라 故로 語樊遲以發之하시니라

樊遲曰 何謂也잇고 子曰 生事之以禮하며 死葬之以禮하며 祭之以禮니라

生事葬祭는 事親之始終이 具矣라 禮는 卽理之節文也라 人之事親을 自始至終히 一於禮而不苟면 其尊親也至矣라 是時에 三家僭禮라 故로 夫子以是警之라 然이나 語意渾然하여 又若不專爲三家發者하시니 所以爲聖人之言也니라

○ 胡氏曰 人之欲孝其親은 心雖無窮이나 而分則有限이니 得爲而不爲와 與不得爲而爲之는 均於不孝라 所謂以禮者는 爲其所得爲者而已矣니라

6. 孟武伯이 問孝한대 子曰 父母는 唯其疾之憂시니라

武伯은 懿子之子니 名?라 言父母愛子之心이 無所不至하여 唯恐其有疾病하여 常以爲憂也라 人子體此하여 而以父母之心爲心이면 則凡所以守其身者 自不容於不謹矣리니 豈不可以爲孝乎아 舊說에 人子能使父母로 不以其陷於不義爲憂하고 而獨以其疾爲憂라야 乃可爲孝라하니 亦通이니라

7. 子游問孝한대 子曰 今之孝者는 是謂能養이니 至於犬馬하여도 皆能有養이니 不敬이면 何以別乎리오

子游는 孔子弟子니 姓言이요 名偃이라 養은 謂飮食供奉也라 犬馬는 待人而食하니 亦若養然이라 言人畜犬馬에도 皆能有以養之하니 若能養其親而敬不至면 則與養犬馬者何異리오 甚言不敬之罪하니 所以深警之也시니라

○ 胡氏曰 世俗事親에 能養足矣라하여 狎恩恃愛하여 而不知其漸流於不敬하니 則非小失也라 子游는 聖門高弟니 未必至此로되 聖人이 直恐其愛踰於敬이라 故로 以是深警發之也시니라

8. 子夏問孝한대 子曰 色難이니 有事어든 弟子服其勞하고 有酒食어든 先生饌이 曾是以爲孝乎아

色難은 謂事親之際에 惟色爲難也라 食는 飯也라 先生은 父兄也라 饌은 飮食之也라 曾은 猶嘗也라 蓋孝子之有深愛者는 必有和氣하고 有和氣者는 必有愉色하고 有愉色者는 必有婉容이라 故로 事親之際에 惟色爲難耳니 服勞奉養은 未足爲孝也라 舊說에 承順父母之色이 爲難이라하니 亦通이니라

○ 程子曰 告懿子는 告衆人者也요 告武伯者는 以其人多可憂之事요 子游는 能養而或失於敬이요 子夏는 能直義而或少溫潤之色이니 各因其材之高下와 與其所失而告之라 故로 不同也니라